반응형
목차 (바로가기)
알아보기
하늘고. 처음 들어봤다.
지인을 통해 알게된 곳인데... 전국구 자사고라고...
내년 중3, 이제는 슬슬 탐색해봐야할 때...
긴급히 알아본 학교 현황 등은 다음과 같다.
위치
인천광역시 중구 영종대로277번길 117
학교 현황 (학교알리미 사이트 기준 작성 @www.schoolinfo.go.kr)
- 설립구분: 사립
- 설립유형: 단설
- 설립일자: 2011년 03월 01일
- 대표번호: 032-745-0400
- 홈페이지: http://www.haneul.hs.kr
- 학생수: 657명 (남 282명 , 여 375명)
- 교원수: 62명 (남 33명 , 여 29명)

- 체육집회공간 :2실
- 관할교육청 :인천광역시교육청
- 특징: 기숙학교
입시결과
21년도 대학입시 결과


학교 프로그램
교과기반심화탐구프로젝트(학문 융합 프로그램 실시로 미래 인재 양성을 위함)
미디어 커뮤니케이션 연구(미디어 리터러시 능력 등 의사소통능력 확대)
무한상상과정(전자의수 → 드론 → 자율주행자동차 등 탐구분야 확대, 진로관련 융합프로그램 참여기회 제공)
면학분위기 (학교알리미/교과별 학업성취도 기준)



일반적인 기준으로, D~E의 분포비율이 낮을수록 면학분위기가 좋다고 함.
(학군지의 경우, 국어 15%미만, 수학 30%미만, 영어 15%미만임)
따라서, 면학분위기는 크게 좋지 않거나, 아니면... 시험문제가 너무 어렵다? 라고 생각해볼 수 있음.
하기 기사를 미루어 짐작해볼 때, 아이들의 수준차는 조금 있는 것으로 결론을 지어도...? (표준편차가 큰 것 같음)
<참고: 내일신문 기사 발췌 - 19/5/23>
학업성취도는 교과별 평균점수와 표준편차, 성취도별 분포 비율을 나타낸다.
먼저 평균점수를 통해 시험 난도를 예상해볼 수 있다. 시험이 어려우면 평균이 내려가는데, 이때 성취도별 분포 비율을 함께 봐야 한다.
A 비율이 높은데 평균이 낮다면, 해당 과목의 상위권 학생이 많다는 것을 예상해볼 수 있다.
반면 A 비율이 낮고 B, C등급의 비율이 높다면 교과 시험의 어려웠을 가능성이 크다.
표준편차는 학생들의 점수 차ㅌ이를 보여주는 것으로 수치가 작다면 비슷한 성적대가 많은 것으로 짐작되며, 수치가 크다면 시험을 잘 본 학생과 못 본 학생의 점수 차이가 크다는 의미로, 시험이 변별력 있음을 의미한다. 보통은 표준편차가 클수록 시험이 어렵다고 보고 있다. 학업성취도는 대학입시를 위한 성적으로 활용되고 있진 않다. 그러나 현재 고1 학생들의 경우 진로선택 과목과 전문 교과에 한해 성취평가제가 대학입시를 위한 성적으로 반영된다.
참고자료 (2022년 자료, 23년 아직 미발행)







나만의 결론


반응형
'우리 아이 잘 키우기 > 이제는 중학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투브] '정승익', 정시파이터를 위한 조언(영어공부법, 수능최저) (0) | 2022.09.08 |
---|---|
[고등학교 탐색] 단대소고 - 단국대학교부속소프트웨어고등학교(특성화고) (0) | 2022.09.07 |
[23년도 고입전형] 서울시, 고등학교 입학 관련 자료 (0) | 2022.09.04 |
[부자간 라이딩] 아빠의 로망 충족(feat. 하트코스 라이딩) (2) | 2022.08.31 |
(설정편 #2) 아이폰으로 공신폰 만들기(feat. 상세 맞춤 설정) (0) | 2022.08.22 |
댓글